개혁의 횃불을 들다

김환기/크리스찬리뷰 | 입력 : 2019/10/30 [15:51]

 
10월의 마지막 주일은 '종교개혁 주일'이다. 1517년 10월 31일은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성당에 95개항의 반박문을 붙였던 날이다. 종교개혁이라고 번역하지만, 영어로 '개혁'(Reformation)이다.
 
중세는 '정치와 종교'와 분리되지 않고 상생하는 관계였다. 교회는 세상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 안에 있기에, 세상을 알지 못하면 교회의 역할을 올바로 감당할 수 없다. 20세기의 최고의 신학자로 평가 받는 칼 바르트도 "한 손에는 성경을, 한 손에는 신문을 들고 살아야 한다"고 했다. 
 
로마와 기독교

 
기독(基督)이란 그리스도(Christ)를 한문으로 음역한 말이다.  그리스도인(Christian)이란 기독교인이란 뜻이다. 그리스도인이란 용어는 사도행전 11:26절에서 등장한다. 예수를 믿는 사람들이 예루살렘의 핍박을 피하여 안디옥에서 살았다. 
 
이때 안디옥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을 비하하며 부른 용어이다. 기독교의 본격적인 박해는 AD 64년, 로마에 대화재가 발생했을 때부터이다. 백성들의 원성이 황제에게 향하자, 네로는 기독교인을 희생양으로 삼았다. 
 
기독교는 AD 64년부터 공인되는 313년까지 지하종교였다. 380년에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기독교를 국교로 삼으면서 로마가 점령한 모든 땅에 기독교를 전파하게 되었다. 395년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죽으면서 로마는   '서로마와 동로마'로 갈라졌다. 서로마의 수도는 로마, 동로마의 수도는 지금의 이스탄불이다. 나라는 분리됐지만 기독교는 분리되지 않았다.
 
세월이 흐르면서 언어, 지역, 교리, 영토 등의 갈등으로, 1054년 서로마는 '로마 가톨릭'(Roman Catholic), 동로마는 '정교회'(Orthodox Church)로 분리되었다. 
 
서로마와 동로마

 
서로마는 476년에 게르만족에 의하여 멸망했다. 게르만족 중 가장 강력한 프랑크족은 기독교로 개종하여 교회의 교황과 좋은 관계를 이어갔다. 800년 12월 25일, 교황 레오 3세는 프랑크인의 왕 카롤루스 1세에게 황제의 관을 씌우고 서로마 제국을 재건했다. 카롤루스가 죽고 영토를 3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분할한 나라는 후에 프랑스, 이태리, 독일이다.
 
962년 오토 1세가 로마의 정통성을 잇는다는 의미로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로 등극하지만, 그러나 1806년 나폴레옹에 의해 해체되었다. 지금의 독일인 '신성로마제국'은 종교개혁과 관련하여 아주 중요한 나라이다. 이곳에서 종교개혁이 시작되었고, 가톨릭과 개신교의 '30년 종교 전쟁'도 있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전쟁은 끝났지만 나라는 만신창이가 되었다. 동로마는 1453년에 무슬림에 의하여 멸망했다. 서로마가 멸망하고 무려 1000년이나 더 나라를 지탱하였다. 330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수도를 '비잔틴'으로 옮긴 후 '콘스탄티노플'로 바꾸었고, 무슬림이 점령한 후 '이스탄불'로 바꾸었다.

 
개혁의 횃불을 들다

 
모든 사건에는 '직접적 원인'과 '간접적 원인'이 있다. 종교개혁의 직접적 원인은 베드로 성당의 건축이다. 무려 100년이 넘게 건축했으니 건축 비용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러한 엄청난 건축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교황청은 면죄부(免罪符)를 발매했던 것이다.
 
신성로마제국이었던 독일이 면죄부를 팔기가 가장 쉬운 곳이었다. 이웃나라는 국가주의가 팽배했지만, 독일은 제국이어서 영주 중심으로 나라가 통합되지 않은 상태였다. 영주들은 돈이 로마로 가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루터가 개혁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영주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르네상스로 인간의 이성이 눈을 뜨게 되었고, 중세의 봉건제도가 와해되고 상인 세력들이 등장하였고, 14세기의 유럽인구의 1/3이 죽었던 흑사병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무엇보다 결정적인 한방은 금속활자의 발견이었다.〠


김환기|크리스찬리뷰 영문편집위원, 호주구세군본부

 

 
광고
광고

  • 포토
  • 포토
  • 포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